ZB vz. 26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ZB vz. 26은 1926년 체코슬로바키아에서 개발된 경기관총으로, 가스 작동 방식과 상부 탄창 급탄 방식을 특징으로 한다. 체코슬로바키아 육군에 제식 채용되었으며, 우수한 성능과 낮은 고장률로 인해 널리 수출되어 여러 국가에서 사용되었다. 특히 중화민국은 이 총기를 대량으로 수입하고 면허 생산하기도 했으며, 한국 전쟁 당시에는 중화인민공화국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서 사용되었다. ZB vz. 26은 다양한 파생형을 가지고 있으며, 영국군의 브렌 경기관총 개발에 영향을 미쳤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한국 전쟁의 보병 무기 - 마우저 C96
마우저 C96은 피델 페더레 형제가 설계하고 1896년부터 생산된 독일제 반자동 권총으로, 독특한 디자인과 개머리판 장착 기능, 강력한 화력으로 20세기 전반 여러 전쟁에서 널리 사용되었으며 다양한 국가에서 복제 생산되기도 했다. - 한국 전쟁의 보병 무기 - SKS
SKS는 세르게이 가브릴로비치 시모노프가 설계한 7.62×39mm 탄약을 사용하는 소련의 반자동 소총으로, 제2차 세계 대전 말기에 개발되어 소련군에 채용되었고 AK-47에 의해 대체되기 전까지 사용되었으며, 다양한 변형 모델이 현재까지도 사용되고 있다. - 제2차 세계 대전의 독일 화기 - 마우저 C96
마우저 C96은 피델 페더레 형제가 설계하고 1896년부터 생산된 독일제 반자동 권총으로, 독특한 디자인과 개머리판 장착 기능, 강력한 화력으로 20세기 전반 여러 전쟁에서 널리 사용되었으며 다양한 국가에서 복제 생산되기도 했다. - 제2차 세계 대전의 독일 화기 - 브라우닝 하이파워
브라우닝 하이파워는 존 브라우닝이 설계하고 벨기에군에 채택되어 높은 신뢰성과 실용성으로 명성을 얻었으며, 복열 탄창과 짧은 반동 원리를 특징으로 하지만 설계 결함도 지적되는 단발 자동 권총이다. - 경기관총 - 루이스 경기관총
루이스 경기관총은 아이작 뉴턴 루이스 대령이 개발한 가스 작동식 경기관총으로, 알루미늄 방열판과 판형 탄창이 특징이며, 다양한 전투에서 사용되었고, 최초의 항공기 탑재 기관총으로도 기록되었으나, 신뢰성과 탄약 공급 문제로 후발 기관총에 비해 평가가 다소 낮았다. - 경기관총 - RPK
RPK는 AKM을 기반으로 긴 총열과 강화된 부품을 갖춘 소련의 경기관총으로, 다양한 탄창을 사용해 긴 사거리와 지속적인 사격 능력을 제공하며 여러 파생 모델과 각국 생산 모델이 존재한다.
ZB vz. 26 | |
---|---|
기본 정보 | |
![]() | |
종류 | 기관총 |
종류 | 경기관총 |
종류 | 분대 지원 화기 |
개발 국가 | 체코슬로바키아 |
사용 시기 | 1926년 – 현재 |
실전 | 제2차 중일 전쟁 |
실전 | 1932년 입헌 혁명 |
실전 | 차코 전쟁 |
실전 | 스페인 내전 |
실전 | 제2차 이탈리아-에티오피아 전쟁 |
실전 | 데르심 반란 |
실전 | 수데텐 독일인 봉기 |
실전 | 제2차 세계 대전 |
실전 | 에콰도르-페루 전쟁 |
실전 | 국공 내전 |
실전 | 한국 전쟁 |
실전 | 제1차 인도차이나 전쟁 |
실전 | 베트남 전쟁 |
실전 | 라오스 내전 |
실전 | 나이지리아 내전 |
실전 | 아체 반란 |
실전 | 남아프리카 국경 전쟁 |
실전 | 소련-아프가니스탄 전쟁 |
실전 | 유고슬라비아 전쟁 |
설계 시기 | 1924년 |
설계자 | 바츨라프 홀렉 |
생산 시기 | 1924년–1953년 |
무게 | 9.65 kg |
길이 | 1161 mm |
총열 길이 | 672 mm |
탄약 | 7.92×57mm 마우저 |
작동 방식 | 가스 작동식, 틸팅 볼트식 |
발사 속도 | 분당 500발 |
총구 속도 | 764 m/s |
유효 사거리 | 1000 m |
급탄 방식 | 20발 또는 30발 탈착식 상자형 탄창 |
조준 장치 | 전방 블레이드, 후방 리프 사이트 |
생산 | |
제조업체 | 즈브로요프카 브르노, 자스타바 암즈 |
파생형 | |
파생형 | ZB vz. 30 |
파생형 | Vz. 52 기관총 |
파생형 | 97식 중기관총 |
파생형 | 99식 경기관총 |
파생형 | 푸질 아메트렐라도르 오비에도 |
파생형 | 브렌 경기관총 |
2. 개발 경위
1921년경, 신생 국가였던 체코슬로바키아는 자체적인 경기관총 개발에 착수했다. 초기 시험에는 베르티에 소총, M1918 브라우닝 자동 소총, 다르네 기관총, Hotchkiss M1914 기관총, 마드센 기관총, 생테티엔 Mle 1907 등 다양한 기관총과 여러 국내 설계가 포함되었다. 이 중 체스카 즈브로요프카(CZ) 프라하(프라하의 체코 무기 공장)에서 제작된 가볍고 탄띠 급탄 방식의 프라하 II가 가장 주목받았다.[4]
ZB-26의 개발은 체코슬로바키아 브르노 무기 공장이 건설된 후인 1923년에 시작되었다. CZ-프라하는 산업 능력이 제한적인 비교적 작은 공장이었기 때문에, 새로운 자동 화기의 생산을 더 진보된 즈브로요프카 브르노(ZB)로 이전하기로 결정했다. 이 과정에서 설계 소유자(CZ-프라하)와 제조업체(ZB) 간의 로열티 분쟁이 발생하기도 했다. 바츨라프 홀레크는 체코슬로바키아 군으로부터 새로운 경기관총 개발 지시를 받고, 그의 형제 에마누엘과 마레크 및 포드라브스키라는 오스트리아 및 폴란드 엔지니어들의 도움을 받아 프라하 II 프로토타입을 기반으로 ZB 경기관총을 개발했다.[4]
얼마 지나지 않아, 홀레크 형제는 탄띠 급탄 방식을 버리고 상부 급탄 방식의 탄창을 채택했으며, 그 결과 만들어진 무기는 프라하 I-23으로 선정되었다. 1926년 말 ZB 공장에서 새로운 무기 제조가 시작되었고, 1928년 체코슬로바키아군의 표준 경기관총이 되었다.
제1차 세계 대전 중 각국 군대는 경기관총을 "위력이 약한 타협의 산물"로만 여겼지만, 전후 휴대성이 높고 보병분대에 따를 수 있으며, 전투에서의 즉응성이 뛰어난 경기관총은 현대 보병 전투에 필수적인 존재라는 것이 분명해졌다.
1920년대에는 일본의 11년식 경기관총, 프랑스의 FM mle1924/29 경기관총, 소련의 DP28 경기관총 등 경기관총 채용이 활발하게 이루어졌다. 체코슬로바키아 역시 국방력 강화와 외화 획득을 위해 경기관총 개발 및 생산을 적극 추진했다. 구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의 중공업 지대였던 체코 지역은 우수한 병기 개발 및 생산 기반을 갖추고 있었다.
1923년 체코 육군은 신형 경기관총 요구 사양을 확정하고, 브르노 병기창의 총기 기술자였던 Václav Holek|바츨라프 홀레크영어가 설계를 맡았다. 1926년 '''브르노 ZB vz.26 경기관총'''이 체코슬로바키아 육군에 제식 채용되었다. ZB vz.26에 대한 상세한 내용은 하위 섹션에서 다루고 있다.
2. 1. 초기 개발 과정
1921년경, 신생 국가였던 체코슬로바키아는 자체적인 경기관총 개발에 착수했다. 초기 시험에는 베르티에 소총, M1918 브라우닝 자동 소총, 다르네 기관총, Hotchkiss M1914 기관총, 마드센 기관총, 생테티엔 Mle 1907 등 다양한 기관총과 여러 국내 설계가 포함되었다. 이 중 체스카 즈브로요프카(CZ) 프라하에서 제작한 가볍고 탄띠 급탄 방식의 프라하 II가 가장 주목받았다.[4]ZB-26의 개발은 1923년 체코슬로바키아 브르노 무기 공장 건설 이후 본격적으로 시작되었다. CZ-프라하는 상대적으로 작은 규모의 공장이었기 때문에, 새로운 자동 화기 생산은 더 발전된 시설을 갖춘 즈브로요프카 브르노(ZB)로 이전되었다. 이 과정에서 설계 소유주(CZ-프라하)와 제조업체(ZB) 간 로열티 분쟁이 발생하기도 했다.[4]

체코슬로바키아 군은 바츨라프 홀레크에게 새로운 경기관총 개발을 지시했다. 홀레크는 그의 형제 에마누엘과 오스트리아 및 폴란드 출신 엔지니어들의 도움을 받아 프라하 II 프로토타입 개발에 착수했다. 1년 안에 이들은 ZB로 알려진 자동 경기관총을 완성했다.[4]
얼마 후, 홀레크 형제는 탄띠 급탄 방식을 포기하고 상부 급탄 방식 탄창을 채택하여 프라하 I-23을 개발했다. 법적 문제에도 불구하고, 1926년 말 ZB 공장에서 새로운 무기 생산이 시작되었고, 1928년에는 체코슬로바키아군의 표준 경기관총으로 채택되었다.
제1차 세계 대전의 경험을 통해 각국 군대는 휴대성이 높고, 보병 분대와 함께 이동할 수 있으며, 즉각적인 전투에 대응 가능한 경기관총의 중요성을 인식하게 되었다.
체코슬로바키아는 국방력 강화와 외화 획득이라는 두 가지 목표를 가지고 경기관총 개발에 적극적으로 나섰다.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시절부터 중공업 지대였던 체코 지역은 우수한 무기 개발 및 생산 기반을 갖추고 있었다.
체코 육군은 1923년 신형 경기관총의 요구 사양을 확정했고, 브르노 병기창의 총기 기술자였던 Václav Holek|바츨라프 홀레크영어가 설계를 맡았다. 1926년, '''브르노 ZB vz.26 경기관총'''은 체코슬로바키아 육군에 제식 채용되었다.
ZB vz. 26은 약 8.9kg으로 다른 나라의 경기관총보다 가벼웠다. 가스 작동 방식을 채택했으며, 7단계로 가스 압력을 조절할 수 있는 가스 조절기를 갖추고 있었다. 작동 방식은 오픈 볼트 방식의 틸트 볼트 방식이었다. 소총탄(7.92 mm×57 Mauser 탄)을 사용했으며, 총신 교체가 용이하도록 캐링 핸들이 부착되었다. ZB26 경기관총은 고장이 적고 성능이 우수하며 가격도 저렴하여 여러 국가로부터 수출 문의를 받았다.
2. 2. 생산 및 채택
1921년경, 신생 국가 체코슬로바키아는 자체적인 경기관총 개발에 착수했다. 초기 시험에는 베르티에 소총, M1918 브라우닝 자동 소총, 다르네 기관총, Hotchkiss M1914 기관총, 마드센 기관총, 생테티엔 Mle 1907 등 다양한 기관총과 여러 국내 설계가 포함되었다. 이 중 가장 중요한 것은 Česka Zbrojovka (CZ) 프라하(프라하의 체코 무기 공장)에서 제작된 가볍고 탄띠 급탄 방식의 프라하 II였다.ZB-26의 개발은 1923년 체코슬로바키아 브르노 무기 공장 건설 이후 시작되었다. CZ-프라하는 산업 능력이 제한적인 작은 공장이었기 때문에, 새로운 자동 화기 생산을 더 발전된 즈브로요프카 브르노(ZB)로 이전하기로 결정했다. 설계자 바츨라프 홀레크는 그의 형제 에마누엘과 오스트리아 및 폴란드 엔지니어들의 도움을 받아[4] 프라하 II 프로토타입을 기반으로 ZB 경기관총을 개발했다.
홀레크 형제는 탄띠 급탄 방식을 버리고 상부 급탄 방식 탄창을 채택하여 프라하 I-23을 개발했다. 1926년 말, ZB 공장에서 새로운 무기 생산이 시작되었고, 1928년 체코슬로바키아군의 표준 경기관총이 되었다.
제1차 세계 대전 중 각국 군대는 경기관총을 충분히 만족스럽지 못한 "위력이 약한 타협의 산물"로 여겼다. 그러나 전후 휴대성이 높고 보병분대와 함께 이동할 수 있으며, 즉응성이 뛰어난 경기관총은 현대 보병 전투에 필수적인 존재로 인식되었다.
1920년대에는 일본의 11년식 경기관총, 프랑스의 FM mle1924/29 경기관총, 소련의 DP28 경기관총 등 경기관총 채택이 활발하게 이루어졌다.
체코슬로바키아는 국방력 강화와 외화 획득을 위해 경기관총 개발 및 생산을 적극 추진했다. 구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의 중공업 지대였던 체코 지역은 우수한 병기 개발 및 생산 기반을 갖추고 있었다.
1923년 체코 육군은 신형 경기관총 요구 사양을 확정하고, 브르노 병기창의 총기 기술자였던 Václav Holek|바츨라프 홀레크영어가 설계를 맡았다. 1926년 '''브르노 ZB vz.26 경기관총'''으로 체코슬로바키아 육군에 제식 채용되었다.
ZB vz.26은 약 8.9kg으로 타국 경기관총보다 가벼웠다. 가스 작동 방식을 채택하고, 7단계 가스 압력 조절이 가능한 가스 조절기를 갖추었다. 틸트 볼트 방식의 볼트 폐쇄 기구를 채용, 오픈 볼트 방식으로 작동했다.
소총탄(7.92 mm×57 Mauser 탄)을 사용했으며, 기립식 캐링 핸들로 과열된 총신 교체가 용이했다. 총신은 300발 정도 교체 없이 사용 가능했다. ZB26 경기관총은 타국산 기관총에 비해 기관부 고장이 적어, 높은 성능과 저렴한 가격으로 많은 국가로부터 수출 문의를 받았다.
3. 설계 특징
ZB vz. 26은 기관총의 일종으로, 다음과 같은 설계 특징을 가지고 있다.
- 조준선 편향: 탄창이 총기 상단에 위치하기 때문에 조준선이 왼쪽으로 치우쳐 있다.
- 표준 부속품: 가스 실린더 튜브에 부착된 일체형 접이식 양각대, 스프링 완충식 개머리판, 접이식 견착판이 있는 나무 개머리판을 포함한다.
- 다용도성: 경기관총으로 설계되었지만, 삼각대, 충분한 양의 탄창, 예비 총열을 갖추면 중기관총이나 대공포 역할도 수행할 수 있었다.
3. 1. 작동 방식
ZB vz. 26은 가스 작동식, 공랭식, 선택식 기관총이다. 방열판이 있는 분리 가능한 총열을 가지고 있으며, 오픈 볼트 방식으로 발사된다. 작동 방식은 총열 아래에 위치한 롱 스트로크 가스 피스톤에 의해 작동된다. 가스 블록은 총열의 총구 끝에 장착되어 있으며, 조준기의 받침대 역할도 한다. 작동 방식은 볼트(노리쇠 뭉치) 후단을 위로 기울여 리시버의 잠금 홈에 들어가면서 잠긴다. 반동 스프링은 무기의 개머리판에 위치하며, 긴 막대를 통해 볼트 캐리어/가스 피스톤과 연결된다. 또한, 리시버와 개머리판의 연결부에 반동 스프링 주위에 짧은 스프링 완충기가 있어 볼트 그룹이 후퇴할 때 충격을 완화한다.장전 손잡이는 리시버 오른쪽에 위치하며, 총을 발사할 때 왕복 운동을 하지 않는다. 탄약 급탄은 2열로 20발을 수용하는 박스 탄창으로 이루어지며, 강철판으로 만들어져 총 상단에 장착된다. 탄창 하우징에는 앞쪽으로 밀리는 먼지 덮개가 있다. 사용된 탄피는 아래로 배출된다. 배출구는 일반적으로 자체 먼지 덮개로 닫혀 있으며, 방아쇠를 누르면 자동으로 열린다. 방아쇠 장치는 단발 사격과 자동 사격 모두 가능하며, 권총 손잡이 왼쪽에 위치한 안전/사격 모드 선택 레버를 통해 선택할 수 있다. 이 총은 오픈 볼트 방식이며, 스프링 장착된 공이는 볼트가 완전히 잠긴 상태에서 볼트 캐리어의 돌출부에 의해 작동된다. 탄창이 위에 위치하기 때문에 조준선이 왼쪽으로 편향되어 있으며, 앞 조준기는 가스 블록에서 위쪽과 왼쪽으로 돌출된 받침대에 장착된다.
후방 조준기는 리시버 왼쪽에 부착되어 있으며, 널링 처리된 회전 노브로 조절되는 사거리 조절 메커니즘이 있다. 표준 부속품으로는 가스 실린더 튜브에 부착된 일체형 접이식 양각대, 스프링 완충식 개머리판과 접이식 견착판이 있는 나무 개머리판이 있다. ZB-26은 경기관총 역할을 위해 설계되었지만, 지속 사격용 삼각대와 충분한 양의 탄창 및 예비 총열을 갖추면 (어느 정도까지) 중기관총 역할을 할 수 있었다. 동일한 삼각대는 대공포 역할에도 사용될 수 있었다.
3. 2. 탄약 및 급탄 방식
ZB vz. 26은 20발들이 박스 탄창으로 급탄되며, 이 탄창은 강철판으로 만들어져 총 상단에 장착된다. 탄창 하우징에는 앞쪽으로 밀리는 먼지 덮개가 있다. 사용된 탄피는 아래로 배출된다. 배출구는 자체 먼지 덮개로 닫혀 있으며, 방아쇠를 누르면 자동으로 열린다. 탄창이 위에 위치하기 때문에 조준선이 왼쪽으로 편향되어 있으며, 앞 조준기는 가스 블록에서 위쪽과 왼쪽으로 돌출된 받침대에 장착된다.[1]3. 3. 조준기 및 부속품
ZB vz. 26은 탄창이 위에 있어 조준선이 왼쪽으로 편향되어 있으며, 앞 조준기는 가스 블록에서 위쪽과 왼쪽으로 돌출된 받침대에 장착된다.[1] 후방 조준기는 리시버 왼쪽에 부착되어 있으며, 널링 처리된 회전 노브로 조절되는 사거리 조절 메커니즘이 있다.[1]표준 부속품으로는 가스 실린더 튜브에 부착된 일체형 접이식 양각대, 스프링 완충식 개머리판과 접이식 견착판이 있는 나무 개머리판이 있다.[1] ZB-26은 경기관총으로 설계되었지만, 지속 사격용 삼각대와 충분한 양의 탄창 및 예비 총열을 갖추면 (어느 정도까지) 중기관총 역할도 할 수 있었다.[1] 이 삼각대는 대공포 역할에도 사용될 수 있었다.[1]
4. 파생형
ZB vz. 26은 여러 파생형을 낳았으며, 채택한 군대에 따라 다양한 명칭으로 불렸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총기 이름에는 'ZB 26'이라는 명칭이 유지되었다.[9][10][11]
ZB vz. 26의 우수성은 여러 나라에서 라이센스 생산을 하게 만들었는데, 대표적으로 중화민국과 영국의 브렌 경기관총 등이 있다.
4. 1. 주요 파생형 목록
- '''ZB vz. 24''': 이 무기의 전신이다.[9]
- '''ZB vz. 27''': 후기형으로, 포르투갈과 영국에 제안되었다.[10]
- '''ZB vz. 30''' 및 ZB 30J: 후기형.
- '''ZGB 30''': 영국 시험을 위한 vz. 30의 최종 수정본.
- '''ZGB 33''': 최종 형태는 영국군의 브렌 경기관총과 거의 동일했다.
- '''ZB 39''': 브렌과 유사한 상업용 변종으로, 다양한 탄약을 사용하고 다른 조준경을 장착하는 등 약간의 변경이 있었다.[11]
- ZB vz. 52: ZB vz. 26의 전후 파생형.
- 일본의 97식 중전차 기관총: ZB-26을 면허 생산한 복제품으로, 일본 전차에 사용하도록 설계되었다. 일반적으로 보병용 경기관총으로는 지급되지 않았다. 노리쇠 손잡이가 수신기 우측에서 좌측으로 이동된 것을 제외하면 작동 방식은 체코제 총기와 본질적으로 동일하다.
- 스페인의 오비에도 자동소총: ZB vz.26/30의 전후 복제품이었다.
- '''ZB26''': ZB 시리즈의 초기 생산형. 고장이 적어 다른 나라에 대량으로 수출되었다.
- '''ZB27''': ZB26 개량형. 총신, 노리쇠 구조 단순화 및 가스 시스템을 개량한 것이다.
- '''ZB30''': ZB27을 수출용으로 개량. 탄종에 따라 가스 압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가스 블록 전면에 가스 조절기를 추가하였다. 총신 개방 레버의 오작동을 방지하기 위해 고정 래치에 보호 커버를 추가하였다. 리시버 좌전방에 대공 조준기를 장착하기 위한 브래킷을 추가하였다.[31]
- '''MG26(t)''': 독일 국방군이 체코슬로바키아를 점령했을 때 노획한 ZB 기관총의 독일 측 호칭.
- '''MG146(j)''': 독일 국방군이 유고슬라비아를 점령했을 때 (유고슬라비아 침공) 노획한 ZB 기관총의 독일 측 호칭.
- '''Vz.52''': ZB26을 개수하여 만든 최종 전기 생산형으로 7.62x45mm탄과 7.62x39mm탄을 사용한다.
- '''UK Vz59''': ZB26을 개수하여 만든 최종 후기 생산형. 7.62x54mmR탄을 사용한다 (7.62x51mm NATO탄을 사용하는 것도 있다). 일부 부품을 교체함으로써, 각종 용도의 기관총으로 사용할 수 있는 벨트 급탄식 다목적 기관총이다.
5. 해외 사용 및 평가
ZB vz. 26은 1928년부터 체코슬로바키아 군에서 사용되기 시작하여 여러 나라로 수출되었으며, 각국에서 높은 평가를 받았다. 특히 7.92×57mm 마우저탄을 사용하여 일본군의 11년식 경기관총보다 위력과 사거리에서 우위를 점했다.[9]
나치 독일은 체코슬로바키아를 점령한 후 ZB-26을 MG 26(t)라는 이름으로 채택하여 MG 34와 함께 경기관총으로 사용했다.[6] 무장친위대에서는 무기 부족으로 인해 ZB-26을 널리 사용했다.
영국은 ZB-30을 기반으로 브렌 경기관총을 개발하여 채택했다. 브렌 경기관총은 제2차 세계 대전 중 소련에 지원되기도 했지만, 탄약 규격 문제(.303 브리티시탄)로 인해 유니버설 캐리어 탑재용 외에는 전선에서 거의 사용되지 않았다.
중화민국은 ZB-26을 대량으로 수입하여 중일전쟁에서 일본군을 상대로 효과적으로 사용했다. 일본군은 ZB-26의 우수성을 인정하여 노획한 ZB-26을 "치"식 7미리 9 경기관총이라는 이름으로 준 제식 채용하여 사용했다. 일본군은 노획한 ZB-26을 참고하여 97식 차량 탑재 중기관총 개발에 활용하기도 했다.
ZB-26은 국공 내전, 한국 전쟁, 제1차 인도차이나 전쟁 등 여러 분쟁에서 사용되었다. 유고슬라비아에서는 ZB-26을 국산화하여 사용했으며, 붕괴 이후 내전에서도 민병대의 주력 장비로 사용되었다.
5. 1. 주요 사용 국가
ZB vz. 26은 1928년부터 체코슬로바키아 군에서 사용되었고, 여러 국가로 수출되었다. 주요 사용 국가는 다음과 같다:- 체코슬로바키아: 1928년부터 1939년까지 45,132정을 구매하여 사용했다. 1945년부터 1953년까지 전후 체코슬로바키아에서 7,136정의 ZB-26이 생산되었다.[9]
- 나치 독일: 체코슬로바키아 점령 후 MG 26(t)라는 이름으로 채택하여 MG 34와 함께 경기관총으로 사용했다.[6] 무장친위대에서 대량으로 사용되었다.
- 영국: ZB vz. 26을 개조하여 브렌 경기관총을 개발, 채택했다.
- 중화민국: 1927년부터 1939년까지 30,249정의 ZB-26을 수입했다.[9] 중국 협력군과 내몽골 군대도 사용했다. 중국 내에서 '26식'이라는 이름으로 생산되기도 했다.
- 일본 제국: 노획한 ZB vz. 26을 '치'식 7미리 9 경기관총이라는 이름으로 준 제식 채용하여 사용했다.
- 유고슬라비아: ZB vz. 26을 채택하고 국산화하여 사용했다. 체트니크도 유고슬라비아군이 사용하던 ZB26을 사용했다.
- 루마니아
- 리투아니아
- 볼리비아
- 불가리아
- 터키
- 중국 붉은 군대(중국 공산당): 중국 국민당으로부터 노획하여 사용.
- 북베트남군/베트민: 제1차 인도차이나 전쟁에서 사용.[8]
- 남베트남군: 제1차 인도차이나 전쟁에서 사용.[8]
- 독립 슬로바키아
- 크로아티아 독립국

한국 전쟁 당시 중국 공산군(PVA)은 ZB-26/26식을 유엔군을 상대로 사용했으며, 장거리 사격에 능숙한 것으로 알려졌다.
참조
[1]
서적
Indonesia's War over Aceh: Last Stand on Mecca's Porch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06-09-27
[2]
AV media
The Defense Of Bosnia
https://www.youtube.[...]
Studio "FLASH" Sarajevo
2015-05-22
[3]
웹사이트
'1919-1941 | Zastava-arms'
http://www.zastava-a[...]
2015-10-18
[4]
서적
Small Arms of the World
https://archive.org/[...]
The Stackpole Company
[5]
서적
The Bren Gun
https://books.google[...]
Osprey Publishing
[6]
문서
The Encyclopedia of Weapons of World War II
[7]
학술지
On the Nature and Role of Arms Production in Interwar Czechoslovakia
https://khd.vse.cz/w[...]
[8]
서적
French Foreign Légionnaire vs Viet Minh Insurgent: North Vietnam 1948–52
Osprey Publishing
2018-09-20
[9]
웹사이트
Lehký kulomet ZB 26
http://www.vhu.cz/ex[...]
Vojenský historický ústav Praha
[10]
웹사이트
Čs. lehký kulomet ZB vz. 27
http://www.vhu.cz/ex[...]
Vojenský historický ústav Praha
[11]
웹사이트
ZB 39
http://www.iwm.org.u[...]
Imperial War Museum
[12]
서적
Afghanistan, Arms and Conflict: Armed Groups, Disarmament and Security in a Post-War Society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08-05
[13]
웹사이트
WWII gear in Afghan use: Part I – Firearms
https://wwiiafterwwi[...]
2018-04-10
[14]
웹사이트
O Museu de Polícia Militar de São Paulo
https://armasonline.[...]
2022-12-16
[15]
서적
Modern African Wars (5): The Nigerian-Biafran War 1967-70
Osprey Publishing Press
[16]
서적
The Chinese Army 1937-49: World War II and Civil War
Osprey Publishing
2005-07-13
[17]
웹사이트
Indigenous Machine Guns of China – Small Arms Defense Journal
http://www.sadefense[...]
[18]
웹사이트
China's Favorite Machine Gun
http://www.chinaww2.[...]
2014-09-27
[19]
문서
Gun Digest Book of Cz Firearms
[20]
웹사이트
Zarumilla War 1941: Ecuadorian-Peruvian War of 1941
https://www.globalse[...]
2019-02-02
[21]
간행물
North Korean Small Arms (Democratic People's Republic of Korea)
https://smallarmsrev[...]
2019-02-02
[22]
서적
Rays of the Rising Sun: Armed Forces of Japan's Asian Allies 1931-45: Volume 1: China and Manchukuo
Helion & Company Limited
[23]
Youtube
Their Blood Waters our Freedom
https://www.youtube.[...]
2020-05-19
[24]
서적
Latin American Wars 1900–1941: "Banana Wars," Border Wars & Revolutions
https://books.google[...]
Osprey Publishing
2018-06-28
[25]
서적
Armoured Trains
Seaforth Publishing
2019-03-30
[26]
백과사전
Fusils-mitrailleurs Lehky Kulomet ZB vz.26 and vz.30
Atlas
[27]
웹사이트
The Light Machine Guns of Sweden
http://www.gotavapen[...]
2017-10-23
[28]
서적
Vital Guide to Combat Guns and Infantry Weapons
Airlife
[29]
서적
Tito's partisans 1941–45
Osprey Publishing
2003-07
[30]
웹사이트
Nejprodávanější československá zbraň
http://www.militaria[...]
Militaria, Elka Press
1991
[31]
웹사이트
Romanian ZB-30 LMG: Improving the Already-Excellent ZB-26
https://www.youtube.[...]
2023-08-3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